-
치매를 예방하는 9가지 생활 습관!비우지 않는 쓰레기통 2017. 8. 10. 08:28반응형
국제알츠하이머협회에 따르면 전 세계 치매환자는 4,678만명이라고 합니다.(2015년 기준) 2050년에는 1억3145만명이 치매에 걸릴 것으로 예상했습니다. 한국은 2017년 72만명으로 보고된 치매 환자가 65세 인구가 1033만명이 되는 2025년에 103만명 즉 10%가 치매에 걸릴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 고작 8년 뒤엔 10명 중 1명이 치매라는 얘기죠. 20대~40대는 아직 해당이 없다고 생각할지 모르겠지만 치매는 가족 중 1명이 걸리기라도 하면 감당하기 힘든 치명적인 질환입니다.
인간의 수명을 80세으로 가정할 때 4명 중 1명 꼴로 치매를 경험하게 된다고 합니다. 치매환자 1인에 들어가는 비용은 1달에 200만원 정도라고 합니다. 때문에 ‘치매푸어’라는 신조어도 만들어졌다고 합니다.
출처 : [안양시치매상담센터)] http://aysilver.or.kr
치매를 위해서는 생활습관 개선이 필수다!
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(UCL) 연구진이 영국의 의학전문지 ‘랜짓’(Lancet)에 게재한 연구 논문입니다. 길 리빙스턴 교수가 이끄는 이 연구진은 생활습관과 유전적 요인이 치매에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고 말합니다. 그 중 35%는 생활습관이 주요인으로 생활습관만 잘 개선하면 35% 확률을 낮출 수 있다는 말이기도 합니다.
1.적정혈압 유지
2.금연
3.비만방지
4.적절한 당뇨 관리
5.우울증 치료
6.청력감퇴 방지(청력 손실은 뇌에 큰 부담을 주고 사회적 고립이나 우울증을 동반함)
7.적극적 신체활동
8.왕성황 사회 활동
9.중등교육(한국의 경우 중·고등학교)
치매를 예방하는 것은 자신의 행복뿐만 아니라 가족의 삶의 질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칩니다. 또 만년에 발병하지만 뇌는 그 전부터 변화가 시작된다고 합니다. 아직 괜찮다고 방심하기보다 9가지 생활습관에 조심하며 미리미리 예방하는 것이 미래에도 건강한 유일한 방법일 것입니다.
치매 국가책임제?
치매 인구 100만명 시대를 준비하는 한국은 치매국가책임제를 준비하고 있다고 합니다. <치매 국가책임제>는 치매 검진부터 치료, 용양까지 국가가 책임진다는 개념이라고 합니다.
정부에서 치매 관리체계 구축에 2,023억원의 추가경정 예산을 편성했고, 중증 치매 환자에 대한 본인 부담금을 10%대로 낮춘다고 합니다. 증폭된 예산과 함께 치료제 개발도 활기를 띨 것으로 전망된다고 하네요. 국립보건연구원에서는 알츠하이머와 파킨스 연구용 인체자원을 공개 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고 합니다.
또 47개였던 치매지원센터가 252개소로 증설된다고 합니다. 치매지원센터는 치매 질환 4대 전략을 실행합니다.
1.조기진단, 조기치료(중증환자 1/4 절감, 1인당 연 800만원, 1000시간 절약)
2.지역사회 기반 돌봄 지원
3.예방 통한 비용절감(발병을 2년 늦출 경우 20년 뒤 환자 20% 감소)
4.치매 친화적 지역사회 구축(인식개선 및 교육)
<서울시 치매지원센터 위치>
마지막으로 치매에 좋은 음식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1.견과류(비타민E, 오메가3)
2.블루베리(안토시아닌)
3.포도(플라보노이드, 카테킨, 안토시아닌/껍질에 영양소가 더 많습니다)
4.고등어, 삼치-등푸른 생선류(DHA, 오메가3)
5.강황-카레(커큐민)
6.우유(글루타티온)
7.계란(레시틴)
8.브로콜리(비타민K, 무기질, 엽산, 콜린)
반응형'비우지 않는 쓰레기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아마존(Amazon)이 선정한 죽기 전에 읽어야 할 책 100권 (0) 2017.08.15 나는 왜 대학에 다니고 있는가 (0) 2017.08.13 [우리 동네 먹을 만한 곳]석촌냉면(석촌동) (0) 2017.08.09 나쁜 리더의 8가지 특징<The 8 Signs of a Bad Leader> (0) 2017.08.08 무한도전 541화에 나온 NBA 스타 스테판 커리는 누구인가? (0) 2017.08.06